전체 운동
벤츠 프렌스
빈봉 10개
25kg 5개
등운동 머신 18kg 제대로 못함
당기기 운동 제대로 못함
머신 25kg 12 회 3번
기구 바꿔서 10 2회
레그컬 18k 12
28kg 10회 2회
분류 전체보기
- 운동 2023.06.05 1
- 스프링세팅 2023.06.05
- C 언어 동강 - 유튜브 2023.06.02
- 자바_연산자, 반복문, 메서드/15분 2023.06.02
- 자바 : 배열, 표준 입출력 함수 /11분 2023.06.02
- 자바_기본구조, 자료형, 변수 /17분 2023.06.02
- 스프링이란 - 김영한 2023.06.02
-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본, 응용 2023.06.02
- 프로그래밍을 위한 기본사항 (진수, 아스키 코드) 2023.06.02
- UI 지침, 스토리보드, UI 프로토타입 제작 및 검토 2023.06.02
운동
스프링세팅
C 언어 동강 - 유튜브
자바_연산자, 반복문, 메서드/15분
연산자 개념
-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표현하는 기호
- 문자열+ 순자열 > 문자열
반복문
for each 문 - 배열이나
'자격증 > 정처기 _실_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 배열, 표준 입출력 함수 /11분 (0) | 2023.06.02 |
---|---|
자바_기본구조, 자료형, 변수 /17분 (0) | 2023.06.02 |
프로그래밍을 위한 기본사항 (진수, 아스키 코드) (0) | 2023.06.02 |
1.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_2 /30분 (0) | 2023.06.02 |
UI 요구사항 22분 (0) | 2023.06.02 |
자바 : 배열, 표준 입출력 함수 /11분
배열
- 같은 타입의 변수들로 이루어진 집합
1차원 배열선언
2차원 배열
'자격증 > 정처기 _실_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_연산자, 반복문, 메서드/15분 (0) | 2023.06.02 |
---|---|
자바_기본구조, 자료형, 변수 /17분 (0) | 2023.06.02 |
프로그래밍을 위한 기본사항 (진수, 아스키 코드) (0) | 2023.06.02 |
1.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_2 /30분 (0) | 2023.06.02 |
UI 요구사항 22분 (0) | 2023.06.02 |
자바_기본구조, 자료형, 변수 /17분
자바 기본구조
자바에서 모든 소스 코드는 클래스 단위로 구성
프로그램시작
프로그램은 public , static , void main 부터 시작
<자바 기본코드>
public class Soojebi{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
}
Hello
자료형 개념
프로그램밍 언어에 서
자료형 유형
- 문자 char
- 문자열 String
- 정수형
- 부동소수점
- 논리형
변수 Variavle:
- 저장하고자 하는 어떤한 값이 있을떄 , 그 값을 주기억장치에 기억하기 위한 공간
- int a - 10;
변수 유효범위
- 클래스 변수(class Variavle)
- 클래스 블록에 선언하는 변수
- 클래스가 시작되면 변수가 생성되고, 클래스가 종료되 변수가 소멸
- 지역 변수 (Local Variavle)
- 블록 내에서 선언하는 변수
- 블록이 시작되는 부분에 바로 선언해주어야 하고, 중괄호가 닫리는 시점에 소멸
- static 변수
- 프로그램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변수
-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변수가 생성되고 ,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변수가 소멸
- 변수 선언시 static 이라는 키워드를 붙임
'자격증 > 정처기 _실_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_연산자, 반복문, 메서드/15분 (0) | 2023.06.02 |
---|---|
자바 : 배열, 표준 입출력 함수 /11분 (0) | 2023.06.02 |
프로그래밍을 위한 기본사항 (진수, 아스키 코드) (0) | 2023.06.02 |
1.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_2 /30분 (0) | 2023.06.02 |
UI 요구사항 22분 (0) | 2023.06.02 |
스프링이란 - 김영한
'spring 작업한 부분 > 게시판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본, 응용 (0) | 2023.06.02 |
---|---|
PART 01.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본 (0) | 2023.06.01 |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본, 응용
- 스프링 프레임워크 웹개발 적용
- IOC
- DI
스프링의 특징 두가지 특징은 DI와 IoC에 대해서 말할 수 있다.
DI라 함은 Dependency Injection의 약자로 번역 하면 의존성 주입이라 한다.
A라는 클래스 내부에 has a 관계로 B클래스를 포함을 시키면 A클래스는 B에 의존적이다 라고 말을 하는데
이 말을 쉽게 풀어 쓰면 A라는 클래스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B가 필요하다는 의미가 된다.
평소 Java개발을 하던 사람이라면
내부에서 new연산자를 사용해서 다른 클래스를 생성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었을 것이다.
이때 new연산자를 사용해서 만들어진 객체에 의존한다 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클래스 A에서 의존성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 두 가지로 분류가 된다.
public class A{
private B b;
A(){
b=new B();
}
}
public class A{
private B b;
public void setB(B b){
this.b = b;
}
}
여기에서 만약 B클래스를 확장시켜 C클래스를 만들었다고 가정을 하고 이제 A클래스에서 B클래스가 아닌 C클래스가 필요하게 된다면,
첫번째 방법 같은 방법은 .java라는 확장자를 가진 파일의 소스코드를 변경 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두번째 방법은 A클래스를 생성 후 간단한 setter를 통해 B클래스를 상속받는 C를 넣어주기만 하면되기 때문에 확장성 면에서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A클래스의 생성자를 통해 B를 세팅할 수 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스프링에서는 2번째 방법을 통해 내부적으로 의존성 객체를 주입시켜준다.
스프링에서는 객체의 생성과 소멸에 관련된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해주는데 객체가 생성되는 곳을 스프링에서는 Bean 컨테이너라고 부른다
스프링에서는 객체를 Bean이라고 부르며, 스프링에서는 프로젝트가 실행될때 사용자가 Bean으로 관리하는 객체들을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A라는 클래스와 B라는 클래스 C라는 클래스에서 D라는 클래스를 요청했을때 스프링에서는 실행될때 생성했던 Bean을 주입시켜주는데 이 과정을 DI라고 한다.
Ioc(Inversion of Control)
스프링에서는 또 다른 특징으로 IoC(Inversion of Control)을 말할 수 있다.
IoC는 제어의 역전이라고 말하며, 간단히 말해 제어의 흐름을 바꾼다라고 한다.
기존에는 다음과 순서로 객체가 만들어지고 실행되어졌다.
1.객체 생성
2.의존성 객체 생성(클래스내부에서)
3.의존성 객체 메소드 호출
하지만, 스프링에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객체가 만들어지고 실행된다.
1.객체 생성
2.의존성 객체 주입(스스로가 만드는것이 아니라 제어권을 스프링에게 위임하여 스프링이 만들어놓은 객체를 주입한다.)
3.의존성 객체 메소드 호출
스프링이 모든 의존성 객체를 스프링이 실행될때 다 만들어주고 필요한곳에 주입시켜줌으로써 Bean들은 싱글턴 패턴의 특징을 가지며,
제어의 흐름을 사용자가 컨트롤 하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에게 맡겨 작업을 처리하게 된다.
'spring 작업한 부분 > 게시판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이란 - 김영한 (0) | 2023.06.02 |
---|---|
PART 01. 스프링 프레임워크 기본 (0) | 2023.06.01 |
프로그래밍을 위한 기본사항 (진수, 아스키 코드)
진수
- 특정 개수의 숫자만이용하여 수를 나타내는 수 체계
- 10진수 이하일때 0~9를 사용하지만, 10진수 추과할 경우 영어 알파벳을 이용
아스키 코드
- 미국 ANSI 에서 표준화한 정보교환용 부호체계
- 영문 키보드로 입력할 수 있는 모든기호가 할당된 기본적인 부호체계
'자격증 > 정처기 _실_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 배열, 표준 입출력 함수 /11분 (0) | 2023.06.02 |
---|---|
자바_기본구조, 자료형, 변수 /17분 (0) | 2023.06.02 |
1.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_2 /30분 (0) | 2023.06.02 |
UI 요구사항 22분 (0) | 2023.06.02 |
1.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_1 /16분 (0) | 2023.06.01 |